https://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87946
코딩테스트 연습 - 피로도
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(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)이 있으며,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와 던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XX게임에는 피로도 시스템(0 이상의 정수로 표현합니다)이 있으며, 일정 피로도를 사용해서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각 던전마다 탐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와 던전 탐험을 마쳤을 때 소모되는 "소모 피로도"가 있습니다.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해당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 가지고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피로도를 나타내며, "소모 피로도"는 던전을 탐험한 후 소모되는 피로도를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 "최소 필요 피로도"가 80, "소모 피로도"가 20인 던전을 탐험하기 위해서는 유저의 현재 남은 피로도는 80 이상 이어야 하며, 던전을 탐험한 후에는 피로도 20이 소모됩니다.
이 게임에는 하루에 한 번씩 탐험할 수 있는 던전이 여러 개 있는데, 한 유저가 오늘 이 던전들을 최대한 많이 탐험하려 합니다. 유저의 현재 피로도 k와 각 던전 별 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가 담긴 2차원 배열 dungeons 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유저가 탐험할 수 있는 최대 던전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k는 1 이상 5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dungeons의 세로(행) 길이(즉, 던전의 개수)는 1 이상 8 이하입니다.
- dungeons의 가로(열) 길이는 2입니다.
- dungeons의 각 행은 각 던전의 [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]입니다.
-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항상 "소모 피로도"보다 크거나 같습니다.
- "최소 필요 피로도"와 "소모 피로도"는 1 이상 1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서로 다른 던전의 [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]가 서로 같을 수 있습니다.
입출력 예
k | dungeons | result |
80 | [[80,20],[50,40],[30,10]] | 3 |
현재 피로도는 80입니다.
만약, 첫 번째 → 두 번째 → 세 번째 던전 순서로 탐험한다면
- 현재 피로도는 80이며, 첫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 또한 80이므로, 첫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첫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2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6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60이며, 두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50이므로, 두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두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4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2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20이며, 세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30입니다. 따라서 세 번째 던전은 탐험할 수 없습니다.
만약, 첫 번째 → 세 번째 → 두 번째 던전 순서로 탐험한다면
- 현재 피로도는 80이며, 첫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 또한 80이므로, 첫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첫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2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6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60이며, 세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30이므로, 세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세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1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50입니다.
- 남은 피로도는 50이며, 두 번째 던전을 돌기위해 필요한 "최소 필요 피로도"는 50이므로, 두 번째 던전을 탐험할 수 있습니다. 두 번째 던전의 "소모 피로도"는 40이므로, 던전을 탐험한 후 남은 피로도는 10입니다.
따라서 이 경우 세 던전을 모두 탐험할 수 있으며, 유저가 탐험할 수 있는 최대 던전 수는 3입니다.
문제풀이
1. 결과 반환 값(answer)을 선언합니다.
2. 던전을 탐험하는 함수(explore)를 호출합니다.
3. explore함수는 각 던전 별"최소 필요 피로도", "소모 피로도"가 담긴 2차원 배열(dungeons), 결과 반환 값(answer), 유저의 현재 피로도(k), 조건에 부합한 수(count)를 파라미터로 설정합니다.
4. 결과 반환 값(answer)은 재귀를 하면서 answer와 count 중 큰 값을 answer에 저장합니다.
5. dungeons를 반복하면서 현재 피로도(k)가 최소 필요 피로도(dungeon [0])와 소모 피로도(dungeon [1])보다 크면, 현재 피로도 - 소모 피로도 값을 저장하는 변수(newK) 선언합니다.
6. 현재 돌고 있는 던전을 삭제하고 count를 1 증가시키며 재귀를 돕니다.
7. 함수를 마치면 결과를 반환합니다.
func solution(_ k:Int, _ dungeons:[[Int]]) -> Int {
var answer = 0
explore(dungeons: dungeons, answer: &answer, k: k, count: 0)
return answer
}
func explore(dungeons: [[Int]], answer: inout Int, k: Int, count: Int) {
answer = max(answer, count)
for (i, dungeon) in dungeons.enumerated() {
var newDungeons: [[Int]] = dungeons
if dungeon[0] <= k && dungeon[1] <= k {
let newK = k - dungeon[1]
newDungeons.remove(at: i)
explore(dungeons: newDungeons, answer: &answer, k: newK, count: count + 1)
}
}
}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2개 이하로 다른 비트 (0) | 2022.03.14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프렌즈4블록 (0) | 2022.03.02 |
[프로그래머스] 카펫 (0) | 2022.02.03 |
[프로그래머스] 신고 결과 받기 (0) | 2022.01.24 |
[프로그래머스] 배달 (0) | 2022.01.11 |